[하트카운트 실습 예제] HR dataset - I

[하트카운트 실습 예제] HR dataset - I

HEARTCOUNT를 이용해서 HR 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을 다룹니다. HEARTCOUNT와 함께라면 누구나 쉽게 데이터에서 의미있는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목차

아래 예제는 특별한 분석 지식이나 경험이 없는 사람들도 화면 이미지를 보고 따라한 후 스스로 해석할 수 있도록 쉽게 작성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그 과정과 절차가 아무리 복잡했다 할지라도 결국에는 분석한 결과물을 일상의 언어로 풀어내어 의사결정권자에게 보고하고 다른 구성원들에게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분석은 설득의 과학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분석 과정이 복잡해질수록 그 결과를 타인에게 쉽게 설명하기 어려워져서 분석 결과가 활용되지 못하기 쉽다. 쉬운 분석과 간단한 시각적 표현만으로도 충분히 자신의 주장의 근거로 삼을 수 있다면 굳이 복잡하고 어려운 분석 기법을 활용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물론 advanced 분석기법을 활용할 줄 알지만 의도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것과 할 줄 몰라서 안 하는 것에는 차이가 있겠다.)

데이터셋 설명

  • 데이터셋: HR dataset
  • 주요 변수
    • 채용경로 : 공채, 인턴 등
    • 근속기간
    • 출신대학, 대학구분(국립, 해외, 수도권, top5 등)
    • 직군
    • 퇴직구분
    • 매니저여부
    • 성과점수
    • 미사용 휴가일수
    • 본인.인내력, 본인.실행력, 본인.인지능력
    • 매니저.비전, 매니저.소통, 매니저.실행력
    • 직원만족도
    • 매출액: 천원단위

실습 내용

HEARTCOUNT 스마트 플롯 기능을 사용해서 아래 문제들에 대한 답을 담고 있는 차트를 시각화해주세요.

  • HEARTCOUNT 로그인 하기 (크롬 접속 권장, 언어: 한국어)
  • 실습 데이터셋을 사용해서 캠페인을 생성해주세요.
  • 문제에 대한 각 시각화 화면들을 저장하려면, 아래 방법들을 활용해보세요.
    - 개별 북마크로 저장 > 상단 “HTML 형식으로 내보내기”
    - 오른쪽 마우스로 저장하거나 스크린샷으로 캡쳐
  • 스마트 플롯 뿐만 아니라 드릴다운 등 다른 시각화 기능도 사용 가능합니다.
    👉 스마트 플롯 튜토리얼 영상 바로가기

1. 두 변수간의 상관관계 확인하기

1-1. [직원만족도]와 [매니저의 소통능력] 간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세요.

▼ 정답과 해설(클릭)

[해설]
그림1-1(클릭해서 보기)은 직원만족도와 매니저의 소통능력(서베이를 통해 부하직원이 측정) 간의 관계를 scatterplot 형식으로 시각화 한 것이다. 화면상의 개별 점들은 데이터셋(예, 엑셀)을 구성하는 개별 레코드(직원)를 나타낸다. 

Scatterplot은 개별 레코드/관측값을 좌표 상에 점으로 흩뿌려 표현하는 시각화 방식으로 산점도라고도 불린다. 직원만족도와 매니저.소통점수 사이의 상관계수가 0.85로 나온다. 상관계수는 두 숫자형 변수(나이, 연봉, 교육시간 등) 사이의 연관성을 -1에서 1사이의 숫자로 계산한 값으로 0.85이면 매우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이야기한다.

[따라하기]
 • 화면 상단의 Y축에 [직원만족도] 선택, X축에 [매니저.소통] 선택
 • 상관계수 옆의 icon click (추세선이 추가됨)

1-2. [팀]별로 [직원만족도]와 [매니저의 소통능력] 간의 관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해보세요.

▼ 정답과 해설(클릭)

[해설]
이번에는 개별 점(직원)들을 팀으로 구분하여 살펴 보자. 분석에 사용하는(동원되는) 변수를 차원(dimension)이라고도 하는데, 직원을 직원만족도 x 매니저.소통, 이렇게 두 개의 차원으로 보다가 팀이라는 새로운 차원을 추가하여 살펴보려고 한다. 그림 1-2 확인하기

[따라하기]
 • 화면 우측의 색상 메뉴에 [팀구분] 선택
 • [팀구분] 선택 후 나타나는 개별 팀들을 하나씩 클릭하여 상관계수가 바뀌는 걸 확인

2. 범주간의 유의미한 차이 탐험하기

2-1. [팀]별 [직원만족도]의 차이를 시각화한 후,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확인해보세요. (hint. 95% 신뢰구간)

▼ 정답과 해설(클릭)

[해설]
팀 별로 직원만족도의 분포가 상이한 것을 확인했는데, 이번에는 서로 다른 팀 간의 직원만족도의 차이가 통계적 유의미한지 여부를 확인해보자. 서로 다른 집단 간 평균값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판단하는 전통적인 방법 중 대표적인 것은 집단 내(개별 팀) 만족도 차이(분산)보다 집단 간(서로 다른 팀 간) 차이가 크게 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그림2-1(클릭해서 보기)처럼 개별 팀별로 평균 만족도의 95% 신뢰구간을 표시하여 신뢰구간이 서로 겹치지 않는 경우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차이가 우연이 아니라 실재 존재)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기술팀의 경우 다른 어떤 팀과 비교하더라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은 만족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Statistical Significance)이 반드시 실용적 관점에서 유의미한 것(Practical Significance)도 아니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패턴 역시 얼마든지 실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95% 신뢰구간의 정확한 수학적 정의는 우리가 상식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개념(모집단 전체의 평균값이 해당 신뢰구간 안에 존재할 확률이 95%이다)과는 좀 다르다. “실제 또는 상상의 모집단(전체 직원)의 진짜 평균값(true mean)이 해당 구간에 존재할 확률이 운이라고 치부하기에는 매우 높다.” 정도로 이해하면 될 것 같다.

[따라하기]
 • 화면 상단의 X축을 [팀구분]으로 변경
 • 기술팀의 신뢰구간 클릭하여 평균 신뢰구간이 겹치는지 확인
 • 상단의 5개 icon 중 두번째 icon을 클릭하여 95% 신뢰구간 표시

2-2. [사업장위치]별 [불량건수]의 분포를 확인해보세요. (hint. 박스플롯, 대표값)

▼ 정답과 해설(클릭)

[해설]
서로 다른 집단간의 변수값의 분포를 비교하는 또 다른 대표적인 방법으로 박스플롯이라는 것이 있다. (박스플롯[box plot]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구글이나 네이버에 검색하면 나옴)


그림 2-2(클릭해서 보기)에서 아래로 길게 펼쳐져 있을수록 해당 사업장의 직원별 불량건수의 분포가 넓고 그 반대일수록 분포가 좁다고 해석할 수 있다. 중간의 박스에는 중앙값(median)을 기준으로 상하위 50%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서울과 일본의 경우 상대적으로 불량건수의 분포가 다른 사업장보다 매우 좁고 (개인간 편차가 작음) 대전과 중국의 경우 개인간 편차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하기]
 • 화면 상단의 Y축을 [불량건수], X축을 [사업장위치]로 변경
 • 상단의 5개 icon 중 첫번째 icon을 클릭하여 boxplot을 통한 분포 표시
 • (선택) 더 예쁘게 보려면 색상을 [사업장위치]로 표시

2-3. [팀]별 [직원만족도] 차이가 [사업장위치]에 따라 변화가 있진 않은지 확인해보세요. (hint. 하위그룹으로 한 차원을 추가하기)

▼ 정답과 해설(클릭)

[해설]
사람은 95% 신뢰구간이나 p-value 같은 통계적 개념을 통해서가 타인이 주장하는 내용과 표현방식이 일치하여 그 주장이 핍진성을 얻을 때 설득당한다.
서로 다른 팀 간에 존재하는 직원만족도의 차이가 사업장 위치와 무관하게 나타나는 보편적 현상이라는 것을 아래와 같이 시각화하면 그 주장이 더욱 설득력을 얻을 것이다. 그림 2-3 확인하기

[따라하기]
 • Y축을 [직원만족도], X축을 [사업장위치], 하위그룹을 [팀구분]으로 선택
 • 첫번째 아이콘(bar chart) 선택
 • 사업장위치 옆의 sorting icon을 클릭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렬

3. KPI 개선 전략을 뒷받침하는 시각화 자료 완성하기

3-1. [직원만족도]를 개선하려면 [매니저의 소통능력]에 개선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한다고 가정 후, 해당 주장을 뒷받침할만한 시각화 차트를 완성해보세요.

▼ 정답과 해설(클릭)

[해설]
팀별로 만족도 차이가 나는 것은 이제 반박하기 어려운 사실이 되었다. 다음에 할 질문은 왜 차이가 나는가, 무얼 바꾸어서 개선할 것인가 인데, 앞에서 매니저의 소통 능력과 만족도에 큰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걸 확인했다.

직원만족도를 개선하려면 매니저가 직원과 소통하는 방식에 개선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하기 위해서 그림 3-1(클릭해서 보기)과 같은 시각화 표현이 가능하겠다.

개별 팀 내에서도 소통점수가 낮아질수록(색깔이 옅어질수록)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 매니저.소통 점수는 본래 숫자형 변수이지만 0~10점, 10~20점, … , 

90~100점과 같은 방식으로 구간으로 분할하여 범주형 변수(성별[남, 녀], 직군[개발, 생산, 영업])로 변환할 수 있다. 실습용 툴(HEARTCOUNT)에서는 해당 변수 변환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따라하기]
 • X축을 [팀구분], 하위그룹을 [매니저.소통]으로 변경
 • [팀구분] 옆 sorting icon을 눌러 내림차순으로 정렬


맺음말) 통제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을 잘 구분하고, 통제의 효과가 큰 요인에 집중

직원 만족도(몰입)를 높이기 위해 우리가 매니저들에게 강조할 수 있는 요인들은 헤아릴 수 없이 많다. 정부의 시장에 대한 규제의 효용은 정부가 시장이 작동하는 원리를 정확히 파악하여 시장 참여자들을 항상 옳은 결정으로 안내하는 데 그 가치가 있기보다는 시장 참여자들이 불확실성에 압도당하여 멍청한 의사결정을 내리지 않도록 의사결정 행위의 복잡성을 제한하는 데 있다는 이론이 있다.

이제는 세상에 널리 알려진 구글의 산소 프로젝트의 가치도 그 내용의 참신함이 아니라(실제 내용은 하품이 나올 정도로 진부하다), 데이터를 통해 확인한 훌륭한 리더들의 구체적인 행동기준들을 *8~10가지로 제한하여 리더들이 직원과 관련한 의사결정을 내리는 일의 불확실성을 줄여준 것에 있다고 생각한다.

패러다임이 바뀌려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과거의 패러다임에서는 쉽게 풀리지 않았던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People Analytics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으려면 성과나 생산성 등 사업 성과와 직접적 관련이 있는 문제에 실용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고 그 효과를 증명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HR이 통제/개입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을 우선 구분하고, 내가 개입할 수 있는 것들 중 그 개입의 효과가 가장 큰 요인들을 발견하고 실천해야 한다.

HR이 지금까지 상식(common sense; 좋은 매니저 -> 높은 몰입/생산성)으로 알고는 있지만 실천(common practice)하지 못 한 가장 큰 이유는 내가 개입할 수 있는 것들 중 그 개입의 효과가 큰 요인들을 정량적으로 증명하고 실제 개입하여 지표가 개선되는 것을 경험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어렵지만 충분히 해낼 수 있는 일이라고 믿는다.

💬
여러분의 실습 결과와 다양한 의견을 슬랙을 통해 공유해주세요!

후기 이벤트

학습 콘텐츠가 도움이 되셨나요? 블로그에 후기를 작성해보세요.

블로그에 하트카운트 학습 콘텐츠와 관련된 글을 작성 후 아래 폼을 제출해주시면, 추첨하여 네이버페이 5,000원 쿠폰을 전달드립니다. 내가 공부한 내용을 기록하며 정리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추천해보세요.
>> 리뷰 이벤트 참여하기